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난임, 불임의 원인이 되는 자궁내막증, 방치하면 안돼요.

건강정보/임산부 건강정보

by 마이필 2025. 1. 7. 10:14

본문

여성이 한 달에 한 번씩씩 월경을 경험하는데 심하지 않았던 생리통이 심해지면 자궁내막증을 의심해 봐야 합니다. 자궁내막증은 자궁 내막 조직이 자궁 밖에서 비정상적으로 성장하는 질환으로 생리 기간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도 큰 불편을 초래할 수 있어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만약, 자궁내막증을 방치하면 심각할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증상을 경험하고 있다면, 의심스럽다면 의료 기관에 방문하셔서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난임이 걱정이 되는 부부
자궁내막증으로 난임이 되는 부부의 모습

 

 

| 자궁내막증

가임기 여성에게서 발견되는 질환으로 자궁 내막은 난자와 정자가 만나 생성된 수정란이 착상하는 신체조직으로 가장 안쪽에 있어야 할 내막 조직이 자궁 밖에서 성장해 골반 주변, 장기에 만성적 염증을 일으키는 상태를 말합니다.

 

 

■자궁내막증 특징

  • 자궁 내막은 배란기가 되면 수정란이 잘 착상할 수 있도록 두꺼워지는데 이때 수정란이 만들어지지 않거나 착상되지 않으면 발생하는 것이 월경입니다.
  • 월경을 통해 배출되어야 할 내막이 자궁 밖에서 자라면 다른 장기와 유착을 일으키거나 만성 염증이 생겨 생리통, 배란통, 골반통이 나타납니다.

 

 

| 자궁내막증 방치하면 안되는 이유

자궁내막증을 방치할 경우 일상생활을 하기 어려울 만큼 통증이 생기고 난임이 확률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자궁내막증 방치 시 생기는 문제

  1. 만성 통증의 원인: 자궁내막증은 만성적인 복통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생리기간 동안 또는 성관계 중에 심한 통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일상생활에 큰 불편함을 줄 수 있습니다.
  2. 불임: 불임의 가장 큰 원인으로 꼽히며 이는 난소와 난관에 손상을 주어 수정 및 임신을 어렵게 만듭니다. 또한 수정이 되었다 하더라도 착상하는 과정을 어렵게 만들어 자연 유산의 위험성이 높아집니다.
  3. 난소 낭종 발생: 자궁 내막 조직이 난소에서 자라날 경우 난소 낭종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낭종은 파열되거나 출혈을 일으킬 수 있어 급성 통증과 다른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4. 다른 기관의 기능 장애: 장, 방광 등 주변 기관에 영향을 미칠 경우 소화불량, 통증을 동반한 배뇨, 그리고 피가 섞인 대변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5. 생활의 질 저하: 반복적인 통증과 다른 건강 문제는 일상생활, 직장활동, 성생활 등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며 전반적인 삶의 질을 저하시킵니다.

 

 

| 자궁내막증 치료

자궁내막증은 완치가 어렵지만 적절한 관리를 통해 증상을 완화하고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약물, 수술적 치료와 정기적인 의료 검진이 필요합니다.

 

 

■자궁내막증 치료

구분 내용
약물치료 경구용 피임제 경구피임약은 월경통이나 골반통을 완화하는데 효과가 있으며 월경혈이 골반 안으로 역류되는 것을 줄임으로써 자궁내막증이 진행되는 것을 억제합니다.
황체호르몬제제 황체호르몬은 자궁 내막을 위축시켜 골반통증 및 월경통을 완화시킵니다. 그러나 구역, 체중 증가, 자궁 출혈 등의 부작용이 생길 수 있어 2년이상 사용할 경우 골손실 우려가 있습니다.
성선자극호르몬 방출 호르몬 유사제 현재 많이 사용되는 약물로 자궁내막증 병변을 자극하는 난포호르몬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한달에 1번, 6개월간 투여하며 난소의 기능을 일시적으로 억제해 폐경 시와 비슷한 증상(얼굴 홍조, 열감, 구역, 골감소증)이 나타납니다.
수술적 치료 골반경 수술 배꼽 부위에 1cm 정도를 절개해 복강 내 내시경을 이용해 모니터를 확인하면서 수술하는 방법으로 현재 많이 사용하는 수술입니다.
개복수술 복부를 절개하여 수술하는 방법으로 복강 내 심한 유착이 있거나 골반경으로 수술 중 유착으로 인해 진행이 힘들 때 사용합니다.

 

 

 

[출처]

자궁내막증 | 국가건강정보포털, 질병관리청

심한 생리통에 배란통까지? 원흉은 자궁내막증 | 동아일보, IT/의학, 건강기상청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