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이 한 달에 한 번씩씩 월경을 경험하는데 심하지 않았던 생리통이 심해지면 자궁내막증을 의심해 봐야 합니다. 자궁내막증은 자궁 내막 조직이 자궁 밖에서 비정상적으로 성장하는 질환으로 생리 기간뿐만 아니라 일상생활에도 큰 불편을 초래할 수 있어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만약, 자궁내막증을 방치하면 심각할 합병증을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증상을 경험하고 있다면, 의심스럽다면 의료 기관에 방문하셔서 도움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임기 여성에게서 발견되는 질환으로 자궁 내막은 난자와 정자가 만나 생성된 수정란이 착상하는 신체조직으로 가장 안쪽에 있어야 할 내막 조직이 자궁 밖에서 성장해 골반 주변, 장기에 만성적 염증을 일으키는 상태를 말합니다.
■자궁내막증 특징
자궁내막증을 방치할 경우 일상생활을 하기 어려울 만큼 통증이 생기고 난임이 확률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자궁내막증 방치 시 생기는 문제
자궁내막증은 완치가 어렵지만 적절한 관리를 통해 증상을 완화하고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약물, 수술적 치료와 정기적인 의료 검진이 필요합니다.
■자궁내막증 치료
구분 | 내용 | |
약물치료 | 경구용 피임제 | 경구피임약은 월경통이나 골반통을 완화하는데 효과가 있으며 월경혈이 골반 안으로 역류되는 것을 줄임으로써 자궁내막증이 진행되는 것을 억제합니다. |
황체호르몬제제 | 황체호르몬은 자궁 내막을 위축시켜 골반통증 및 월경통을 완화시킵니다. 그러나 구역, 체중 증가, 자궁 출혈 등의 부작용이 생길 수 있어 2년이상 사용할 경우 골손실 우려가 있습니다. | |
성선자극호르몬 방출 호르몬 유사제 | 현재 많이 사용되는 약물로 자궁내막증 병변을 자극하는 난포호르몬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한달에 1번, 6개월간 투여하며 난소의 기능을 일시적으로 억제해 폐경 시와 비슷한 증상(얼굴 홍조, 열감, 구역, 골감소증)이 나타납니다. | |
수술적 치료 | 골반경 수술 | 배꼽 부위에 1cm 정도를 절개해 복강 내 내시경을 이용해 모니터를 확인하면서 수술하는 방법으로 현재 많이 사용하는 수술입니다. |
개복수술 | 복부를 절개하여 수술하는 방법으로 복강 내 심한 유착이 있거나 골반경으로 수술 중 유착으로 인해 진행이 힘들 때 사용합니다. |
[출처]
자궁내막증 | 국가건강정보포털, 질병관리청
심한 생리통에 배란통까지? 원흉은 자궁내막증 | 동아일보, IT/의학, 건강기상청
콜록콜록 감기에 걸린 임산부 감기약 먹어도 될까요 (104) | 2025.02.18 |
---|---|
출산 후 산모에게 필요한 영양소 칼슘이 필요한 이유 (80) | 2025.01.21 |
자궁내막증 원인과 증상, 자궁내막증 임신 가능성 (66) | 2024.12.31 |
출산한 산모에게 필요한 출산 후 영양제 종류 (69) | 2024.12.27 |
임산부 철분 부족 원인과 증상, 대처 방법 (56) | 2024.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