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신생아 꿀 섭취 위험한 이유, 임산부 꿀 먹어도 괜찮을까요

건강정보/임산부 건강정보

by 마이필 2024. 10. 29. 14:21

본문

임신 전에는 아무 생각 없이 먹던 음식을 임신한 후에는 조심해야 합니다. 설탕은 몸에 좋지 않을 것이라 생각해 많은 분들이 설탕 대신 꿀을 이용해 단맛을 내거나 감기 기운이 있을 때 따뜻하게 꿀물을 많이 먹습니다. 1세 미만 신생아에게는 꿀은 위험하지만 간혹 임산부에게도 위험할 수 있다고 해 많은 임산부가 꿀을 먹어도 되는지 궁금해하는데요.

 

오늘은 임산부가 꿀을 먹어도 되는지 신생아에게 왜 꿀이 위험한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임산부, 꿀 먹어도 될까요?

꿀은 특별히 임산부에게 금기되는 음식은 아닙니다. 임산부는 날것, 술, 담배 등의 식품은 피하는 것이 좋지만 꿀은 임산부가 가끔씩 먹는 것은 괜찮습니다.

 

 

■임산부 꿀 섭취

  • 가끔씩 먹는 것은 괜찮습니다.
  • 신생아는 내장기관이 아직 충분히 발달하지 않아 꿀에 있는 미생물에 의해 감염이 될 수 있습니다.
  • 하지만 임산부는 꿀을 먹어도 뱃속의 태아에게 영향을 주지 않아 섭취해도 됩니다.
  • 평소 위장이 약하거나 면역력이 약해진 상태라면 꿀에 있는 미생물에 의해서 탈이 생길 경우 적극적인 치료가 힘들 수 있어 적정량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꿀

  • 꿀은 자연에서 얻은 최초의 식품
  • 과거에서부터 약용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피로해소에 효과적

 

 

■꿀 효능

  • 비타민B가 함유되어 있어 피로해소를 도움
  • 입덧으로 인해 입맛이 없을 때 단맛을 통해 입맛을 돋우는데 도움
  • 마그네슘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통증 완화에 도움
  • 피부미용에 도움

 

 

■섭취 시 주의사항

  1. 꿀은 단당류 함량이 매우 높아 과다 섭취 시 임신성 고혈압, 당뇨 등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2. 따라서 적정량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 신생아, 꿀 섭취가 위험한 이유

꿀에는 보툴리누스 균이 포함되어 있어 이 균이 내장기관이 충분히 발달되지 않은 신생아에게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1세 미만 영아가 보툴리누스 균 포자로 오염된 꿀을 섭취할 경우 해당 포자가 장내에서 균으로 생장하면서 독소에 의해 영아 보툴리누스증을 일으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보툴리누스균

  • 보툴리누스 식중독을 일으키는 균으로 포자가 장내에 침투해 신경 마비성 식중독을 일으킵니다.
  • 건강한 성인은 간의 해독작용으로 보툴리누스 독소를 배출할 수 있지만 소화기관이 미성숙한 신생아게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 포자는 열에 매우 강해 일반적인 조리법으로 사멸되지 않습니다.
  • 영아 보툴리누스증은 심경 마비, 호흡곤란 등이 나타나고 심할 경우에 사망에 이를 만큼 치명적이기 때문에 신생아의 경우에는 꿀을 먹이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영아 보툴리누스증

정의 1세 미만의 영아에게서 발생하는 질병으로 원인체인 보툴리누스균의 포자가 소화기능이 발달하지 않은 영아의 장관에서 살아남아 발아, 증식하고 신경독소를 생성하는 식중독
원인 오염된 벌꿀의 섭취
벌꿀은 꿀벌들이 꽃꿀, 수액 등을 채집해 저장한 것을 채밀한 자연식품으로 보툴리누스균에 오염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예방법 1세 미만의 영아에게는 벌꿀 섭취를 금지합니다.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블로그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