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임신 중 비만의 위험성: 예비 엄마와 태아 건강을 위한 가이드

건강정보/임산부 건강정보

by 마이필 2024. 10. 23. 15:01

본문

임신 기간 동안 건강한 체중을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데요.  실제로 건강한 체중관리는 예비 엄마뿐만 아니라 태아의 건강에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건강한 임신을 위해서는 적절한 체중 관리와 생활 습관이 필수적이며 나와 미래에 태어날 아이를 위해서 체중 관리를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임산부 비만이 왜 위험한지, 그리고 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건강 문제와 예방 방법에 대해서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임산부 비만
임신 중 비만의 위험성

 

 

| 임산부 비만

임신 전, 후 BMI(체질량지수)가 25인 이상인 경우로 임신 중 비만은 여러 건강문제를 야기할 수 있어 개선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BMI

  • 체질량지수=체중(kg)/키(m)x키(m)
  • 세계보건기구에 따르면 성인의 경우 BMI가 30 이상이면 비만으로 분류
  • 우리나라는 BMI가 25 이상이면 비만으로 분류

 

 

| 임산부 비만 위험성

임산부가 비만인 경우 당뇨, 임신 중독증 등 합병증이 증가하며 과체중인 태아가 태어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임산부 비만 위험성

  1. 임신합병증 증가: 임신중독증, 고혈압, 임신성 당뇨 등과 같은 임신 합병증의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 미국의학협회저널에 따르면 비만 산모는 일반인보다 유산 확률이 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 출산 위험: 조기진통, 유도분만의 필요성 증가, 제왕절개 수술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태아의 과한 성장으로 인해 과도하게 확장된 자궁 상태에서 분만이나 제왕절개가 이뤄지게 되므로 이로 인해 출산 후 자궁 수축이 원활하지 못해 산후 출혈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3. 태아 건강문제: 태아가 과도하게 성장하여 과체중으로 태어날 가능성이 높으며, 출생 후 비만 위험성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또한 태아 성장 이상, 기형 등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 예방 및 관리 방법

체중관리, 운동, 건강한 식습관을 통해서 임신 중 건강관리를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임산부 비만 관리방법

  1. 적정체중 유지하기: 임신 기간 동안 늘어야 하는 목표 체중 증가량을 알고 임신 초기부터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11~12kg의 체중 증가가 적절합니다.
  2. 적절한 운동하기: 임신 중이라도 적절한 운동을 통해서 건강관리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규칙적으로 일주일에 3번 정도 30분씩 걷기나 수영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3. 균형 잡힌 식사하기: 태아의 건강한 성장을 위해 생선, 살코기, 콩 등 단백질 식품을 섭취하고 무기질, 식이섬유가 풍부한 채소, 과일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출처]

대한산부인과학회 임산부 비만관리 가이드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