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다양한 출산, 육아 지원 정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 육아휴직은 대표적인 출산, 육아 지원 정책으로 기존 정책을 확대하고 새로운 제도를 도입해 저출생 문제를 해결하고 부모의 경제적 부담 완화 및 양육 환경 개선을 목표로 해 정부나 공공기관이 출산을 장려하고 육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시행합니다. 이번 시간에 2025년 새롭게 달라지는 출산 양육 지원 정책, 2025 육아 휴직 급여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볼게요.
저출생 문제를 해결하고 부모의 경제적 부담 완화, 양육 환경 개선 등을 목표로 하며 아이와 안전하고 건강하게 함께 할 수 있도록 많은 지원을 합니다.
■2025 출산 육아 지원 정책
출산 시 비용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분만 방법과 관계 없이 모든 분만 비용을 무료로 지원합니다.
산후조리원의 시설, 서비스 수준을 평가하는 산후 조리원 평가 의무화 사업을 공공 산후 조리원 중심으로 '25년도부터 시범 추진합니다.
이른둥이는 출생 초기 장기 입원이 필요한 점을 고려해 관련 기간 등을 연장하여 산모와 아이들이 건강하게 회복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난임 및 산전, 후 우울증을 겪는 부부를 위해 난임, 임산부 심리 상담센터를 확대 운영합니다.
■부부 심리, 정서 상담 지원 내용
육아 휴직 급여를 인상하고 사후 지급금 제도가 폐지되며 출산 휴가 및 육아 휴직 통합 신청이 가능해집니다.
2025년 1월 1일부터 육아휴직 급여가 확대됨과 동시에 사후지급금 제도가 폐지됩니다.
■육아휴직 급여 인상
기존 육아휴직 급여 | 개편 육아휴직 급여 |
월 150만원 급여의 일부는 회사 복귀 후 지급됨(사후지급금) |
1~3개월: 월 250만원 4~6개월: 월 200만원 7개월~: 월 160만원 |
출산 후 18개월 이내 육아 휴직 사용 시 출산 휴가 및 육아 휴직 통합 신청이 가능해집니다.
■출산 휴가, 육아 휴직 통합 신청
기존 | 개편 |
육아 휴직과 출산 휴가 별도 신청 | 통합으로 간편하게 개선됨. 출산 후 18개월 이내 육아휴직 사용 시 통합 신청 가능 |
한부모 육아휴직 급여가 상향되어 최대 50만원 상향됩니다.
■한부모 육아휴직 급여 상향
기존 | 개편 |
첫 3개월 월 최대 250만원 | 첫 3개월 월 최대 300만원 |
[출처]
정책브리핑 www.kerea.kr
2025년 새 생명을 위한 임산부 수당, 임산부 지원 혜택 A to Z (178) | 2025.04.03 |
---|---|
2025 새롭게 달라지는 출산 양육 지원 정책 A to Z (1) (103) | 2025.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