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단계별 이유식 시기와 종류, 이유식 시작할 때 주의사항

건강정보/신생아 건강정보

by 마이필 2025. 3. 12. 10:31

본문

이유식은 영아가 어른들이 먹는 음식으로 점차 바뀌어 나가기 위해 하는 훈련 과정이며 이유식 시작하는 시기는 아기의 건강과 발달 상태에 따라 다르지만 대부분 만 6개월부터 시작합니다. 우리 아이에게 어떻게 이유식을 시작해야 할지 고민인 분들을 위해서 이번 시간에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단계별 이유식 [출처] freepik

 

 

| 이유식

영아가 어른들이 먹는 음식으로 점차 바꾸어 나가기 위해 모유 또는 분유 외에 주는 음식을 의미하며 이유기 보충식이라고 부릅니다.

 

 

■이유식 특징

  • 만 6개월이 되면 모유 또는 분유만으로 아기의 성장, 발달에 충분한 영양을 공급하기 어려워지는데 아기의 건강상태에 따라 점차 채소, 과일, 단백질 식품 등으로 식품의 종류를 늘려 다양한 음식의 맛과 질감을 배우게 합니다.
  • 이때 아기에게 연하고 소화가 잘되는 반고형 상태의 음식을 주어 고형식에 익숙해지도록 훈련이 필요합니다.
  • 영유아기의 맛 선호도는 평생 지속될 수 있으므로 처음부터 달고 짠맛에 길들여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 단계별 이유식

세계보건기구에 의하면 모유수유 아기는 모유가 생후 6개월까지 필요한 열량과 영양소를 충족시키기 때문에 6개월 이후 시작하고 모유수유는 2세까지 지속할 것을 권고하며 분유를 먹는 아기는 4~6개월에 시작하면 됩니다.

 

 

■이유식 단계별 종류

연령 시기 종류 및 특징
생후 2~4개월 준비기 과즙에서 점차 야채 수프로 옮겨가며 모유, 분유 이외의 새로운 음식을 경험하게 합니다.
수프는 한가지 야채만 사용하여 묽게 끓이며 소금이나 설탕 간을 하지 말고 채소 자체의 맛을 느낄 수 있도록 합니다.
생후 5개월 초기 본격적으로 이유식을 시작하는 시기로 죽처럼 묽게 조리합니다.
소화가 잘되는 곡물이나 달걀 노른자, 야채, 두부의 순으로 자츰 치즈 등 단백질 종류를 늘려갑니다.
야채는 부드럽게 익혀 잘게 썰거나 다져서 사용합니다.
생후 6~8개월 중기 혀로 으깰 수 있도록 잘게 썰어 조리합니다.
횟수는 오전과 오후 두차례로 늘리고 오후는 오전보다 1/3정도 양을 줄여 제공합니다.
두세가지 재료를 함께 섞어 다양한 맛을 느낄 수 있도록 합니다.
생후 9~12개월 후기 부드러운 고형식을 먹을 수 있는 시기이므로 잇몸으로 씹을 수 있을 정도로 만들어 하루 3차례 제공합니다.
활동량이 많아지므로 달걀, 생선 등의 단백질 식품과 야채 등의 비타민 식품, 밥, 빵 등의 탄수화물 식품을 골고루 줍니다.
생후 12개월 이후 완료기 어른이 먹는 식사로 넘어가는 과도기이므로 음식 종류를 다양하게 주어 편식 습관이 생기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하루 3번 제공하며 부족한 양은 오전 10시와 오후 3시경 간식으로 제공합니다.

 

 

| 이유식 시작할 때 주의사항

한 번에 한가지 음식을 추가하고 새로운 음식을 시작한 뒤에는 약 3~7일간 주의 깊게 관찰하여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나는지 살펴봅니다.

 

 

■이유식 초기 주의사항

  1. 규칙적으로 시간을 정해서 제공하며 젖을 주기 전 공복상태에서 주는 것이 좋습니다.
  2. 아기의 소화기능이 비교적 활발한 오전 10시경에 주기 시작하여 이어 오후 2시, 오후 6시 순으로 제공합니다.
  3. 이유식을 시작하더라도 모유수유를 계속합니다: 모유나 분유가 아직은 주식이기 때문에 초기 이유식은 새로운 식사 방법과 부족한 영양소를 공급받는 보조적인 역할로만 제공합니다.
  4. 과일주스가 아닌 곡류 미음으로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유 준비기의 첫 이유식으로는 알레르기가 적은 쌀미음이 안전합니다.
  5. 생후 만 4개월 이후 6개월 이내에 시작합니다: 이유식을 너무 일찍 시작하면 아기가 음식물을 제대로 소화, 흡수하기 어려워 영양결핍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생후 4개월 이후에는 침의 분비가 늘면서 소화 효소의 활동도 활발해지므로 이 시기에 이유식을 시작합니다.

 

 

[출처]

국가건강정보포털

두산백과, 이유보충식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