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마이필입니다.
우리가 흔히 말하는 동물성식품은 단백질의 주요 급원이며 축산물인 육류, 우유류 및 가공품, 난류 및 가공품이 포함되는데 육류에 해당하는 붉은색 고기 즉 적색육이 발암물질이라고 알려지면서 많은 분들이 불안해합니다. 오늘은 적색육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적색육이 암의 발생 위험이 증가한다는 것이지 암 발생률이 증가한다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적정량 지켜서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적색육은 일반적으로 소, 돼지, 양 등의 고기를 말하며 포화지방, 콜레스테롤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적색육 특징
■적색육의 구분
구분 | 지방함량 | 종류 |
기름기가 적은 고기 | 5% 이하 | 안심 |
기름기가 중간인 고기 | 5~10% | 우둔살 |
기름기가 많은 고기 | 20% 이상 | 갈빗살 |
■고기의 색이 붉은색인 이유
WHO 산하 국제 암연구소는 적색육을 2A군, 가공육을 1군으로 발암물질로 규정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육류가 암 발생율을 증가시키는 이유
우리 몸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양의 단백질 섭취가 필요합니다. 무조건 고기를 멀리하는 것보다는 적당량 지켜서 드시는 것이 좋으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암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암을 예방하는 육류 섭취 방법
방법 | 내용 |
삶거나 끓여먹는 조리법 사용 | 1. 고온이나 직화, 바비큐, 프라이팬 등 불판에 접촉하여 조리하는 경우 발암성 화학물질이 많이 생성되어 삶거나 찌는 것이 좋습니다. 2. 조리 중 탄 부분은 최대한 제거합니다. |
살코기 위주의 고기 선택 | 고기의 지방은 구우면 지방이 타면서 생기는 연기에 발암물질인 포름알데히드가 생성되어 흡입 시 질환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
가급적 가공육 섭취 피하기 | 가공육인 햄, 소시지의 가공과정에 흔히 사용되는 아질산나트륨은 발암물질은 아니지만 조리 중 발암물질인 니트로사민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햄, 소시지를 사용할 땐 한번 데친 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다양한 단백질 식품 섭취하기 | 닭, 오리, 생선, 달걀, 콩류의 다양한 식품에도 단백질이 풍부하게 들어 있으니 다양한 식품으로 단백질을 보충하는 것이 좋습니다. |
채소, 통곡물, 과일과 함께 먹기 | 식이섬유가 풍부한 채소, 통곡루, 과일과 같이 섭취하면 식이섬유가 발암물질의 흡수를 억제하고 배설을 촉진하여 암 발생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
#3. 건강한 식품 선택 가이드, 나트륨 함량 비교 표시제도를 알아봐요. (196) | 2024.03.06 |
---|---|
혈당 스파이크 정의, 증상, 위험성 및 예방방법 (128) | 2024.03.05 |
음력 1월 1일 설의 유래, 설날 대표 음식 칼로리와 영양성분 (130) | 2024.02.08 |
지속성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정의, 장점 (138) | 2024.02.05 |
익혀 먹으면 좋은 채소 vs 생으로 먹으면 좋은 채소 (132) | 2024.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