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마이필입니다.
임신 28주, 29주, 30주, 31주는 임신 8개월 차로 접어드는 시기로 임신 후기에 해당됩니다. 임신 후기에는 요통, 수면 중 불편함, 태아로부터 폐 압박 등이 나타날 수 있고 임산부가 약 5kg의 체중 증가가 나타나기 때문에 활동하기에도 힘이 들 수 있습니다. 오늘은 임신 후기인 임신 28주, 29주, 30주, 31주까지의 임산부의 증상 및 태아의 성장, 영양관리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임신 28주에는 자궁이 배꼽과 명치 사이의 중간쯤까지 올라와서 심장이나 위가 눌리기 때문에 더부룩한 느낌이 들 수 있어 소화가 잘되는 음식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산모의 변화
■태아의 성장
몸이 부을 수 있는데 온종일 부기가 빠지지 않거나 고혈압, 단백뇨 등이 나타난다면 임신중독증일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병원에 방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산모의 변화
■태아의 성장
임신 30주에는 태아가 자유롭게 몸의 위치를 바꾸던 것을 출산을 대비해 머리를 골반 아래로 향하게 됩니다.
■산모의 변화
■태아의 성장
자궁 저부의 높이는 약 25~28cm로 배는 점점 더 커지며 가슴뼈 7~8cm 아래까지 올라와 위가 압박되고 식사가 거북해지며 태아의 크기는 약 40cm, 체중은 1.5kg 정도 성장합니다.
■산모의 변화
■태아의 성장
임신 후기에 속이 불편하다는 이유로 결식을 하게 되면 산모와 태아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어 규칙적으로 적정량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임신 8개월 영양관리
영양관리 방법 | 내용 |
여러 번 나눠서 섭취하기 | 자궁이 커지면서 위를 압박하기 때문에 체한 느낌이 들 수 있어 여러번 자주 나눠 먹는 것이 좋습니다. |
체조, 걷기 등 조금씩 움직이기 |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하는 체조는 부종을 감소시키며 무리가 가지 않는 선에서 조금씩 걸으면서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긴장 및 피로를 푸는 것이 좋습니다. |
고칼로리 음식 자제하기 | 치킨, 피자 등 고칼로리 음식을 많이 먹으면 산모의 체지방 증가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가급적 고칼로리 음식은 자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
소화되기 쉽고 변비를 예방하는 식품 섭취하기 | 소화기관 평활근 이완으로 소화기관 내에서 섭취한 음식물의 이동속도가 감소되어 소화가 잘 되지 않고 변비가 생길 가능성이 높아 소화가 쉽고 변비를 예방할 수 있는 식품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
■소화가 잘되는 음식
■변비에 좋은 음식
[출처]
임신육아종합포털 아이사랑, 임신 후기 이해
한국건강증진개발원 임산부 영양관리
임신 7개월, 임신 25주, 26주, 27주 임산부 증상 및 영양관리 방법 (220) | 2024.03.25 |
---|---|
임신 6개월 임신 21주~24주 증상 및 영양관리 방법 (178) | 2024.03.21 |
임신 17주, 18주, 19주, 20주 산모 증상 및 영양관리, 태아 성장과정 (246) | 2024.03.08 |
임신 후기 임신 32주~36주 산모의 변화, 태아의 성장, 영양관리 방법 (97) | 2024.02.26 |
임신 14주, 15주, 16주 산모와 태아의 변화, 영양관리 방법 (206) | 2024.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