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마이필입니다.
구리를 생각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이 바로 금속일 텐데요. 구리는 전기와 열이 잘 통하는 금속으로 실제 우리 주위에서 전선, 난방용 배관, 조리기구 등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런 구리가 우리가 살아가는데 필수라는 사실 알고 계시나요? 구리는 우리 몸에 조금만 필요해 규칙적이고 균형 잡힌 식사를 하면 부족하지 않습니다. 오늘은 구리의 효능, 결핍, 과잉, 급원식품, 권장섭취량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구리는 성인의 체내에 약 50~120mg이 존재하는 필수 미량 무기질로 뇌, 신장, 간에 많이 들어있으며 체내 구리의 약 65%는 근육과 뼈, 약 10%는 간에 분포합니다.
■구리의 특징
구리는 에너지 생산, 철 대사, 결합조직 합성 및 신경전달물질 합성에 관여하는 여러 효소의 보조인자로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철의 운반과 이용에 필요하다, 유해산소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데 필요하다는 기능성을 인정했습니다.
■구리의 생리적 기능
일반적으로 규칙적이고 균형잡힌 식사를 하는 사람들에게서 매우 드물지만 저체중아로 태어나 조제분유를 먹는 영아, 영양불량의 미숙아에게서는 구리 결핍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구리 결핍증
장기간 다량(하루 0.7mg/kg 이상)으로 섭취하면 장관 내에 영향을 주어 복통, 설사 등이 나타나고 관련 유전질환인 윌슨병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구리 과잉증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건강기능식품으로서의 일일섭취량을 0.24~7mg으로 권장하고 있습니다.
■구리의 권장섭취량
연령 | 권장섭취량(ug) | 상한섭취량(ug) |
성장기 | 12-14세 남자: 800 12-14세 여자: 650 |
7,500 |
성인기 | 남자: 850 여자: 650 |
10,000 |
노인기 | 남자: 800 여자: 600 |
|
임신기 | 780 | |
수유기 | 1,130 |
가장 풍부한 식품은 동물의 간이며 굴, 꽃게에도 풍부합니다. 굴의 1회분량(80g, 생것)을 섭취했을 때 구리의 일일 권장량에 해당하는 양을 섭취할 수 있습니다.
■구리 풍부한 식품
급원식품(100g) | 급원식품 100g 당 함량 |
백미 | 220 |
소의 간 | 14,283 |
대두 | 1,147 |
낙지 | 1,000 |
굴 | 1,300 |
맥주 효모의 효능 및 부작용, 섭취 방법과 섭취 시 주의사항 (236) | 2024.03.07 |
---|---|
다낭성난소증후군에 좋은 이노시톨 효능, 부작용, 섭취 방법 (210) | 2024.02.27 |
겨울철 낙상사고로 인한 골절 예방을 위한 칼슘 섭취 가이드 (115) | 2024.01.23 |
헴철과 비헴철 차이, 임산부 철분제 종류와 비교 (90) | 2024.01.19 |
식물영양소 파이토케미컬 정의, 종류, 효능, 음식 (127) | 2024.01.12 |